고려대학교 도서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고지도 컬렉션  |  天下圖 (천하도) – 경기도

뒤로가기
天下圖 (천하도)
검색 취소
지도 리스트
도움말

고려대학교 도서관

다양한 고지도를
살펴보세요~!

다양한 고지도를 살펴보세요
지명색인

지도를 클릭하면
가까운 지명을 볼 수
있어요~!

지도를 클릭하면 가까운 지명을 볼 수 있어요
패널 숨기기
天下圖
– 경기도
천하도, Cheonhado
간사자
간사자미상
간사년
숙종25(1699)
설명
필사본. 1첩. 조선 후기 유행한 동람도식 팔도 도별도이다. <천하도(天下圖)>, <일본국도(日本國圖)>, <유구국도(琉球國圖)>, <중국도(中國圖)>(半缺), <경기도(京畿道)>(半缺),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 <강원도>, <평안도>, <함경도>, <황해도> 순으로 장정되어 있다. 뒷면 배접지에 "강희(康熙)38년(1699) 6월 20일"의 고문서가 확인되므로, 이 지도첩의 제작의 하한년을 1699년으로 추정한다. 원소장자의 의도대로 이 지도첩을 접었을 때 13.5*8.5cm의 소형 수진본(袖珍本) 크기로 줄어드는 것으로 보아 휴대용 지도첩으로 사용되었던 것을 알 수 있다. 더보기
지명색인
검색취소
001. 강화(江華)
002. 개성(開城)
003. 견달산(見達山)
004. 계양산(桂陽山)
005. 고양(高陽)
006. 교동(喬桐)
007. 교하(交河)
008. 금천(衿川)
009. 김포(金浦)
010. 남양(南陽)
011. 덕적산(德積山)
012. 문수산(文殊山)
013. 미라산(彌羅山)
014. 백마산(白馬山)
015. 부평(富平)
016. 소래(蘇來)
017. 송악산(松岳山)
018. 수영(水營)
019. 수원(水原)
020. 안산(安山)
021. 양천(楊川)
022. 영종(永宗)
023. 오관산(五冠山)
024. 월관(月串)
025. 월농산(月籠山)
026. 인천(仁川)
027. 장단(長湍)
028. 정포(井浦)
029. 제물(濟物)
030. 중림도(重林道)
031. 천마산(天摩山)
032. 철관(鐵串)
033. 청명산(淸明山)
034. 초지(草芝)
035. 통진(通津)
036. 파주(坡州)
037. 패원○(棑源○)
038. 풍덕(豊德)
039. 화량(花梁)
040. 화장산(華藏山)
041. ○○도(○○道)
042. ○오조산(○烏鳥山)
목차
전체화면
목차
지명색인
KOREA UNIVERSITY LIBRARY OLD MAP COLLECTION

지명색인도
확인해보세요~!

지명색인도 확인해보세요
KU 고지도 컬렉션
닫기
현재 지도 정보
지도명天下圖 (천하도) – 경기도
간사자간사자미상
간사년숙종25(1699)
설명필사본. 1첩. 조선 후기 유행한 동람도식 팔도 도별도이다. <천하도(天下圖)>, <일본국도(日本國圖)>, <유구국도(琉球國圖)>, <중국도(中國圖)>(半缺), <경기도(京畿道)>(半缺),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 <강원도>, <평안도>, <함경도>, <황해도> 순으로 장정되어 있다. 뒷면 배접지에 "강희(康熙)38년(1699) 6월 20일"의 고문서가 확인되므로, 이 지도첩의 제작의 하한년을 1699년으로 추정한다. 원소장자의 의도대로 이 지도첩을 접었을 때 13.5*8.5cm의 소형 수진본(袖珍本) 크기로 줄어드는 것으로 보아 휴대용 지도첩으로 사용되었던 것을 알 수 있다. 더보기
지도 리스트지도 리스트40
목차천하도 목차15
천하도 – 경기도천하도 – 경기도
고지도 컬렉션 정보고지도 컬렉션 정보
고려대학교 도서관 한적실
02841 서울 성북구 안암로 145 고려대학교 도서관
고지도 컬렉션

도서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고지도 중 학술적 가치와 희귀성이 높은 자료를 선별하여 디지털화한 고지도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현재 40건 726면의 고지도 원문 이미지가 구축되어 있습니다.

교내외 로그인 없이 원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닫기
天下圖
(천하도)

필사본. 1첩. 조선 후기 유행한 동람도식 팔도 도별도이다. <천하도(天下圖)>, <일본국도(日本國圖)>, <유구국도(琉球國圖)>, <중국도(中國圖)>(半缺), <경기도(京畿道)>(半缺),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 <강원도>, <평안도>, <함경도>, <황해도> 순으로 장정되어 있다. 뒷면 배접지에 "강희(康熙)38년(1699) 6월 20일"의 고문서가 확인되므로, 이 지도첩의 제작의 하한년을 1699년으로 추정한다. 원소장자의 의도대로 이 지도첩을 접었을 때 13.5*8.5cm의 소형 수진본(袖珍本) 크기로 줄어드는 것으로 보아 휴대용 지도첩으로 사용되었던 것을 알 수 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