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 도서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고지도 컬렉션  |  地圖. 二 (지도이) – 

뒤로가기
地圖. 二 (지도이)
검색 취소
지도 리스트
도움말

고려대학교 도서관

다양한 고지도를
살펴보세요~!

다양한 고지도를 살펴보세요
지명색인

지도를 클릭하면
가까운 지명을 볼 수
있어요~!

지도를 클릭하면 가까운 지명을 볼 수 있어요
패널 숨기기
地圖. 二
– 
지도이, Jido 2
간사자
간사자미상
간사년
고종21(1884)
설명
조선 말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회화식 군현지도첩이다. 총 4첩으로 구성되어 있고, 책표지에는 “지도(地圖)”로 제첨이 붙어 있다. 전체 체계는 1.도리표, 2.도별전도, 3.소속 군현의 개별도의 순서이며, 지도의 여백에 각 도와 군현의 인구, 재정곡, 경지면적, 사방경계, 성곽, 창, 면의 이름과 위치에 관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군현도의 경우 방안식 지도로 작성되어 있다. 제 1첩에 첫머리에는 전 세계를 축적에 근거해서 동서반구로 나누어 그린 서양식 지도인 목판본 <지구전도(地球全圖)>를 부착하였고, 하단에 ?지구도해(地球圖解)?와 ?지구론(地球論)?을 베껴 놓았으며, 그 외에도 지구가 태양을 도는 모양을 도해한 <지구환일도(地毬?日圖)>와 지구 공전에 의해 계절이 바뀌는 것을 도해한 <지구환일성세서도(地毬?日成歲序圖>와 연활자로 인쇄된 설명문을 부착하였다는 점이 특징이다. <지구전도>는 1883년(고종 20) 10월 1일자 『한성순보(漢城旬報)』 창간호에 부록되어 있는 것이고, <지구환일도>는 1884년 1월 30일자 제10호에 부록되어 있는 것이며, <지구환일성세서도>는 1884년 2월 17일자 제12호에 부록되어 있는 것을 지도첩에 옮겨서 장정한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이 지도첩의 작성 시기는 1884년(고종 21)으로 추정할 수 있겠다. 더보기
지명색인
검색취소
001. 가덕(加德)
002. 가도(柯島)
003. 가마산(駕馬山)
004. 가막(可莫)
005. 가배량(加背粱)
006. 가서(加西)
007. 가야산(伽耶山)
008. 가조(加助)
009. 간자을이(艮者乙伊)
010. 간점산(肝占山)
011. 감(監)
012. 감문천(甘文川)
013. 감물진(甘勿津)
014. 감악(紺岳)
015. 감치(甘峙)
016. 감포(甘浦)
017. 강창(江倉)
018. 개령(開寧)
019. 개산강(開山江)
020. 개운(開雲)
021. 거제(巨濟)
022. 거창(居昌)
023. 건흥산(乾興山)
024. 견내량(見乃粱)
025. 견성산(甄城山)
026. 경산(慶山)
027. 경양산(慶陽山)
028. 경주(慶州)
029. 고령(高靈)
030. 고봉사(孤峯寺)
031. 고성(固城)
032. 고종령(孤宗嶺)
033. 고초산(高草山)
034. 고헌산(高獻山)
035. 곡포(曲浦)
036. 곤양(昆陽)
037. 공검지(恭儉池)
038. 공산(公山)
039. 공성창(功成倉)
040. 공수원(公須院)
041. 광이(廣耳)
042. 괘방령(掛方岺)
043. 구말치(仇末峙)
044. 구봉산(九峯山)
045. 구산(龜山)
046. 구소비포(舊所非浦)
047. 구어(仇於)
048. 구영등(舊永登)
049. 군위(軍威)
050. 극락산(極樂山)
051. 금산(金山)
052. 금산(錦山)
053. 금성(金城)
054. 금오(金烏)
055. 금오산(金鰲山)
056. 금오산(金鰲山)
057. 금정산(金井山)
058. 금천(金泉)
059. 금학산(禁鶴山)
060. 금호강(琹湖江)
061. 기장(機張)
062. 김해(金海)
063. 낙동강(洛東江)
064. 남촌(南村)
065. 남해(南海)
066. 내성(奈城)
067. 노량(露梁)
068. 다대(多大)
069. 단밀(丹密)
070. 단성(丹城)
071. 당포(唐浦)
072. 대구(大丘)
073. 대덕산(大德山)
074. 대둔산(大芚山)
075. 대마도(對馬島)
076. 대암산(大巖山)
077. 대야치(大也峙)
078. 대화진(大和津)
079. 덕유산(德裕山)
080. 도굴산(闍堀山)
081. 도마산(都麽山)
082. 도음산(檮陰山)
083. 독용산(禿用山)
084. 돌배곶(冬乙背串)
085. 동래(東萊)
086. 두모(豆毛)
087. 등운산(騰雲山)
088. 마곡산(馬谷山)
089. 마산(馬山)
090. 마아령(馬兒嶺)
091. 마정산(馬井山)
092. 마치(馬峙)
093. 마치(馬峙)
094. 만경산(萬頃山)
095. 말응산(末應山)
096. 망운산(望雲山)
097. 매매(每每)
098. 명월산(明月山)
099. 명지(明旨)
100. 모자산(母子山)
101. 무계진(茂溪津)
102. 무락산(无落山)
103. 무량산(無量山)
104. 문경(聞慶)
105. 문수(文殊)
106. 미륵산(彌勒山)
107. 미조항(彌助項)
108. 미타산(彌陀山)
109. 밀(密)
110. 밀양(密陽)
111. 방어산(防禦山)
112. 백암산(白巖山)
113. 백암치(白巖峙)
114. 백운산(白雲山)
115. 백운산(白雲山)
116. 백운산(白雲山)
117. 백월산(白月山)
118. 백학산(白鶴山)
119. 백화산(白華山)
120. 병(兵)
121. 보현산(普賢山)
122. 본월치(本月峙)
123. 봉미(鳳尾)
124. 봉화(奉化)
125. 봉황산(鳳凰山)
126. 부산(釜山)
127. 부상(扶桑)
128. 부항현(釜項峴)
129. 분산(盆山)
130. 불현(佛峴)
131. 비봉산(飛鳳山)
132. 비봉산(飛鳳山)
133. 비산진(緋山津)
134. 비안(比安)
135. 비진(非珍)
136. 사근(沙斤)
137. 사량(蛇梁)
138. 사불산(四佛山)
139. 사진(四鎭)
140. 사천(泗川)
141. 산북면(山北面)
142. 산천부곡(山川部曲)
143. 산청(山淸)
144. 삼가(三嘉)
145. 삼강(三江)
146. 삼랑(三浪)
147. 삼봉산(三峯山)
148. 삼우수(三又水)
149. 삼직령(三垂嶺)
150. 삼천(三千)
151. 삽교(揷橋)
152. 상주(尙州)
153. 상주포(尙州浦)
154. 서생(西生)
155. 서평(西平)
156. 선방산(船放山)
157. 선산(善山)
158. 선암산(船巖山)
159. 선유동(仙游洞)
160. 섬강(蟾江)
161. 성주(星州)
162. 성치(星峙)
163. 성현(省峴)
164. 소달(小達)
165. 소백산(小白山)
166. 소촌(召村)
167. 소학(蘇鶴)
168. 소학산(巢鶴山)
169. 속리산(俗離山)
170. 손가진(孫哥津)
171. 송라(松羅)
172. 수산진(守山津)
173. 순흥(順興)
174. 식산(食山)
175. 신구(神龜)
176. 신반(新反)
177. 신영(新寧)
178. 쌍계사(雙溪寺)
179. 아흘(牙屹)
180. 안(安)
181. 안(安)
182. 안강(安康)
183. 안계(安溪)
184. 안곡(安谷)
185. 안골(安骨)
186. 안기(安奇)
187. 안동(安東)
188. 안의(安義)
189. 알운산(遏雲山)
190. 앙진(仰津)
191. 약수(若水)
192. 양산(梁山)
193. 어연천(語連川)
194. 언양(彦陽)
195. 연악(淵岳)
196. 연화(蓮花)
197. 영덕(盈德)
198. 영산(永山)
199. 영산(靈山)
200. 영양(英陽)
201. 영일(迎日)
202. 영지산(靈芝山)
203. 영천(榮川)
204. 영천(永川)
205. 영취송진(靈鷲松津)
206. 영해(寧海)
207. 영호루(暎湖樓)
208. 예안(禮安)
209. 예천(醴泉)
210. 오십천(五十川)
211. 옥포(玉浦)
212. 옹천(瓮泉)
213. 와룡산(臥龍山)
214. 왜관(倭館)
215. 욕지(欲知)
216. 용각산(龍角山)
217. 용궁(龍宮)
218. 용암산(龍巖山)
219. 용지현(龍旨峴)
220. 우두산(牛頭山)
221. 우예산(右曳山)
222. 우현(牛峴)
223. 운문산(雲門山)
224. 울산(蔚山)
225. 울연산(蔚然山)
226. 웅암산(熊巖山)
227. 웅천(熊川)
228. 웅치(熊峙)
229. 원문(轅門)
230. 원적산(圓寂山)
231. 월명산(月明山)
232. 월악(月岳)
233. 유곡(幽谷)
234. 유천(楡川)
235. 육십현(六十峴)
236. 율포(栗浦)
237. 의령(宜寧)
238. 의성(義城)
239. 의양산(儀陽山)
240. 의흥(義興)
241. 인동(仁同)
242. 일마산(釰麻山)
243. 일월산(日月山)
244. 일직(一直)
245. 임울산(林鬱山)
246. 자여(自如)
247. 자인(慈仁)
248. 작원애로(鵲院隘路)
249. 장기(長鬐)
250. 장수(長水)
251. 장천(丈川)
252. 재산현(才山縣)
253. 저도(楮島)
254. 적량(赤梁)
255. 적현(赤峴)
256. 절영(絶影)
257. 제포(薺浦)
258. 조라(助羅)
259. 조령(鳥嶺)
260. 종남산(終南山)
261. 좌병(左兵)
262. 좌수(左水)
263. 주령(珠嶺)
264. 주흘(主屹)
265. 죽령(竹嶺)
266. 중대산(中臺山)
267. 중모(中牟)
268. 지례(知禮)
269. 지로치(持爐峙)
270. 지리산(智異山)
271. 지세포(知世浦)
272. 지주비(砥柱碑)
273. 직지사(直旨寺)
274. 진보(眞寶)
275. 진유산(陳由山)
276. 진주(晋州)
277. 진해(鎭海)
278. 집현산(集賢山)
279. 창(倉)
280. 창락(昌樂)
281. 창령(昌寧)
282. 창선도(昌善島)
283. 창원(昌原)
284. 척두산(尺斗山)
285. 척안(陟安)
286. 척지산(尺旨山)
287. 천생성(天生城)
288. 천성(天城)
289. 천왕산(天王山)
290. 천왕산(天王山)
291. 청도(淸道)
292. 청량산(淸凉山)
293. 청송(靑松)
294. 청수암산(淸水巖山)
295. 청하(淸河)
296. 청학산(靑鶴山)
297. 청학산(靑鶴山)
298. 초계(草溪)
299. 추라(楸羅)
300. 추원(楸元)
301. 추치(楸峙)
302. 추풍령(秋風嶺)
303. 축산(丑山)
304. 춘양(春陽)
305. 취도(鷲島)
306. 취서산(鷲棲山)
307. 칠곡(柒谷)
308. 칠원(漆原)
309. 칠점산(七占山)
310. 칠천(漆川)
311. 칠포(漆浦)
312. 태백산(太白山)
313. 태성치(態成峙)
314. 토함산(吐含山)
315. 통덕(通德)
316. 통도사(通度寺)
317. 통영(統營)
318. 퇴성산(退城山)
319. 파둔산(破鈍山)
320. 팔각산(八角山)
321. 팔간령(八艮嶺)
322. 팔십참(八十站)
323. 팔조령(八助嶺)
324. 평산포(平山浦)
325. 포이(包伊)
326. 풍기(豊基)
327. 풍남(豊南)
328. 하가산(下柯山)
329. 하동(河東)
330. 하리면(下里面)
331. 하빈(河濱)
332. 하양(河陽)
333. 한산도(閑山島)
334. 함안(咸安)
335. 함양(咸陽)
336. 함창(咸昌)
337. 합천(陜川)
338. 해운대(海雲臺)
339. 현풍(玄風)
340. 혈도(穴島)
341. 형강(兄江)
342. 호학산(呼鶴山)
343. 화개동(花開洞)
344. 화령(化寧)
345. 화북(化北)
346. 화산(花山)
347. 화악(華岳)
348. 화원현(花園縣)
349. 황계폭(黃溪瀑)
350. 황매산(黃梅山)
351. 황산(黃山)
352. 황산(黃山)
353. 황악(黃岳)
354. 황지(黃池)
355. 황창(黃倉)
356. 흥해(興海)
357. 余亢(余亢)
목차
전체화면
목차
지명색인
KOREA UNIVERSITY LIBRARY OLD MAP COLLECTION

지명색인도
확인해보세요~!

지명색인도 확인해보세요
KU 고지도 컬렉션
닫기
현재 지도 정보
지도명地圖. 二 (지도이) – 
간사자간사자미상
간사년고종21(1884)
설명조선 말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회화식 군현지도첩이다. 총 4첩으로 구성되어 있고, 책표지에는 “지도(地圖)”로 제첨이 붙어 있다. 전체 체계는 1.도리표, 2.도별전도, 3.소속 군현의 개별도의 순서이며, 지도의 여백에 각 도와 군현의 인구, 재정곡, 경지면적, 사방경계, 성곽, 창, 면의 이름과 위치에 관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군현도의 경우 방안식 지도로 작성되어 있다. 제 1첩에 첫머리에는 전 세계를 축적에 근거해서 동서반구로 나누어 그린 서양식 지도인 목판본 <지구전도(地球全圖)>를 부착하였고, 하단에 ?지구도해(地球圖解)?와 ?지구론(地球論)?을 베껴 놓았으며, 그 외에도 지구가 태양을 도는 모양을 도해한 <지구환일도(地毬?日圖)>와 지구 공전에 의해 계절이 바뀌는 것을 도해한 <지구환일성세서도(地毬?日成歲序圖>와 연활자로 인쇄된 설명문을 부착하였다는 점이 특징이다. <지구전도>는 1883년(고종 20) 10월 1일자 『한성순보(漢城旬報)』 창간호에 부록되어 있는 것이고, <지구환일도>는 1884년 1월 30일자 제10호에 부록되어 있는 것이며, <지구환일성세서도>는 1884년 2월 17일자 제12호에 부록되어 있는 것을 지도첩에 옮겨서 장정한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이 지도첩의 작성 시기는 1884년(고종 21)으로 추정할 수 있겠다. 더보기
지도 리스트지도 리스트40
목차지도이 목차134
지도이 – 지도이 – 
고지도 컬렉션 정보고지도 컬렉션 정보
고려대학교 도서관 한적실
02841 서울 성북구 안암로 145 고려대학교 도서관
고지도 컬렉션

도서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고지도 중 학술적 가치와 희귀성이 높은 자료를 선별하여 디지털화한 고지도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현재 40건 726면의 고지도 원문 이미지가 구축되어 있습니다.

교내외 로그인 없이 원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닫기
地圖. 二
(지도이)

조선 말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회화식 군현지도첩이다. 총 4첩으로 구성되어 있고, 책표지에는 “지도(地圖)”로 제첨이 붙어 있다. 전체 체계는 1.도리표, 2.도별전도, 3.소속 군현의 개별도의 순서이며, 지도의 여백에 각 도와 군현의 인구, 재정곡, 경지면적, 사방경계, 성곽, 창, 면의 이름과 위치에 관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군현도의 경우 방안식 지도로 작성되어 있다. 제 1첩에 첫머리에는 전 세계를 축적에 근거해서 동서반구로 나누어 그린 서양식 지도인 목판본 <지구전도(地球全圖)>를 부착하였고, 하단에 ?지구도해(地球圖解)?와 ?지구론(地球論)?을 베껴 놓았으며, 그 외에도 지구가 태양을 도는 모양을 도해한 <지구환일도(地毬?日圖)>와 지구 공전에 의해 계절이 바뀌는 것을 도해한 <지구환일성세서도(地毬?日成歲序圖>와 연활자로 인쇄된 설명문을 부착하였다는 점이 특징이다. <지구전도>는 1883년(고종 20) 10월 1일자 『한성순보(漢城旬報)』 창간호에 부록되어 있는 것이고, <지구환일도>는 1884년 1월 30일자 제10호에 부록되어 있는 것이며, <지구환일성세서도>는 1884년 2월 17일자 제12호에 부록되어 있는 것을 지도첩에 옮겨서 장정한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이 지도첩의 작성 시기는 1884년(고종 21)으로 추정할 수 있겠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