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 도서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고지도 컬렉션  |  地圖. 二 (지도이)

뒤로가기
地圖. 二 (지도이)
검색 취소
지도 리스트
도움말

고려대학교 도서관

다양한 고지도를
살펴보세요~!

다양한 고지도를 살펴보세요
지명색인

지도를 클릭하면
가까운 지명을 볼 수
있어요~!

지도를 클릭하면 가까운 지명을 볼 수 있어요
패널 숨기기
地圖. 二
지도이, Jido 2
간사자
간사자미상
간사년
고종21(1884)
설명
조선 말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회화식 군현지도첩이다. 총 4첩으로 구성되어 있고, 책표지에는 “지도(地圖)”로 제첨이 붙어 있다. 전체 체계는 1.도리표, 2.도별전도, 3.소속 군현의 개별도의 순서이며, 지도의 여백에 각 도와 군현의 인구, 재정곡, 경지면적, 사방경계, 성곽, 창, 면의 이름과 위치에 관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군현도의 경우 방안식 지도로 작성되어 있다. 제 1첩에 첫머리에는 전 세계를 축적에 근거해서 동서반구로 나누어 그린 서양식 지도인 목판본 <지구전도(地球全圖)>를 부착하였고, 하단에 ?지구도해(地球圖解)?와 ?지구론(地球論)?을 베껴 놓았으며, 그 외에도 지구가 태양을 도는 모양을 도해한 <지구환일도(地毬?日圖)>와 지구 공전에 의해 계절이 바뀌는 것을 도해한 <지구환일성세서도(地毬?日成歲序圖>와 연활자로 인쇄된 설명문을 부착하였다는 점이 특징이다. <지구전도>는 1883년(고종 20) 10월 1일자 『한성순보(漢城旬報)』 창간호에 부록되어 있는 것이고, <지구환일도>는 1884년 1월 30일자 제10호에 부록되어 있는 것이며, <지구환일성세서도>는 1884년 2월 17일자 제12호에 부록되어 있는 것을 지도첩에 옮겨서 장정한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이 지도첩의 작성 시기는 1884년(고종 21)으로 추정할 수 있겠다. 더보기
지명색인
검색취소
001. 가가(可佳)
002. 가리포(加里浦)
003. 가토(加土)
004. 갈두(葛頭)
005. 갈치(葛峙)
006. 감(監)
007. 강진(康津)
008. 검모포(黔毛浦)
009. 격포(格浦)
010. 경양(景陽)
011. 계족산(鷄足山)
012. 고군산(古郡山)
013. 고근산(古近山)
014. 고금도(古今島)
015. 고내악(高內岳)
016. 고달산(高達山)
017. 고마도(古馬島)
018. 고부(古阜)
019. 고산(高山)
020. 고창(高敞)
021. 곡성(谷城)
022. 광덕산(廣德山)
023. 광양(光陽)
024. 광주(光州)
025. 교룡산(蛟龍山)
026. 구례(求禮)
027. 구미(仇未)
028. 구봉(九峯)
029. 군니산(君尼山)
030. 군산(郡山)
031. 군산창(郡山倉)
032. 굴치(屈峙)
033. 굴치(屈峙)
034. 귀산(龜山)
035. 금갑(金甲)
036. 금강산(金剛山)
037. 금골산(金骨山)
038. 금구(金溝)
039. 금대(金臺)
040. 금산(錦山)
041. 금성산(金城山)
042. 금성산(錦城山)
043. 금전산(金錢山)
044. 기준고성(箕準古城)
045. 김제(金堤)
046. 나(羅)
047. 나주(羅州)
048. 낙수진(洛水津)
049. 낙안(樂安)
050. 남도(南桃)
051. 남원(南原)
052. 남평(南平)
053. 내덕(來德)
054. 내라로(內羅老)
055. 내발(乃發)
056. 내장산(內藏山)
057. 노도(露島)
058. 노령(蘆嶺)
059. 눌옥(訥玉)
060. 능주(綾州)
061. 다경(多慶)
062. 다랑수악(多郞秀岳)
063. 달마진(達麻津)
064. 달목(達木)
065. 담양(潭陽)
066. 대덕산(大德山)
067. 대둔산(大芚山)
068. 대란(大卵)
069. 대정(大靜)
070. 대치(垈峙)
071. 대치(大峙)
072. 대치(大峙)
073. 대치(大峙)
074. 대항(大項)
075. 덕유산(德裕山)
076. 도내악(道內岳)
077. 도리치(道里峙)
078. 도마치(都麽峙)
079. 도솔산(兠率山)
080. 독거(獨巨)
081. 돌산(突山)
082. 동락산(動樂山)
083. 동리산(洞裏山)
084. 동복(同福)
085. 동진(東津)
086. 동치(東峙)
087. 두만산(斗滿山)
088. 두승산(斗升山)
089. 두원(豆原)
090. 등산진(登山津)
091. 마도(馬島)
092. 마진(馬津)
093. 마치(馬峙)
094. 마치(馬峙)
095. 만경(萬頃)
096. 망수산(望水山)
097. 망운면(望雲面)
098. 멸치(滅峙)
099. 명도악(明道岳)
100. 명산(命山)
101. 명월소(明月所)
102. 모슬소(毛瑟所)
103. 모악(母岳)
104. 모야(毛也)
105. 모후산(母后山)
106. 목포(木浦)
107. 몽탄(夢灘)
108. 무등산(無等山)
109. 무안(務安)
110. 무장(茂長)
111. 무주(茂朱)
112. 문수(文殊)
113. 발포(鉢浦)
114. 방답(防踏)
115. 방하치(方下峙)
116. 백록담(白鹿潭)
117. 백야곶(百也串)
118. 백운(白雲)
119. 백자치(栢子峙)
120. 벌라(伐羅)
121. 법성창(法聖倉)
122. 법장산(法長山)
123. 벽골제(碧骨堤)
124. 벽사(碧沙)
125. 벽파진(碧波津)
126. 변산(邊山)
127. 별방소(別防所)
128. 병악(竝岳)
129. 병영(兵營)
130. 보길(甫吉)
131. 보성(寶城)
132. 보작(甫作)
133. 보해소(甫海所)
134. 복길(福吉)
135. 본월치(本月峙)
136. 부귀산(富貴山)
137. 부안(扶安)
138. 부유현(富有縣)
139. 불갑산(佛甲山)
140. 불명산(佛明山)
141. 비양(飛揚)
142. 비응(飛鷹)
143. 비홍산(飛鴻山)
144. 사도(蛇島)
145. 사토을치(沙土乙峙)
146. 사호강(沙湖江)
147. 산이장도(山伊長島)
148. 삼례(參禮)
149. 삼별초(三別抄)
150. 삼재(三材)
151. 삼향(三鄕)
152. 상왕산(象王山)
153. 서귀소(西歸所)
154. 서대산(西臺山)
155. 서석(瑞石)
156. 선운사(禪雲寺)
157. 설산(雪山)
158. 섬강(蟾江)
159. 섬진(蟾津)
160. 성수산(聖壽山)
161. 소요산(逍遙山)
162. 소치(掃峙)
163. 송광산(松廣山)
164. 송치(松峙)
165. 송치(松峙)
166. 수령(秀嶺)
167. 수성치(宿星峙)
168. 순금오(順金鰲)
169. 순수태도(順愁太島)
170. 순자강(鶉子江)
171. 순창(淳昌)
172. 순천(順天)
173. 승달산(僧達山)
174. 신지강(薪智康)
175. 신창진(新倉津)
176. 암태(巖太)
177. 압해(壓海)
178. 압해(壓海)
179. 어대(魚大)
180. 어란(於蘭)
181. 어용(魚龍)
182. 어유산(魚裕山)
183. 여귀산(女貴山)
184. 여도(呂島)
185. 여산(礪山)
186. 여수(呂水)
187. 여흘(如屹)
188. 영광(靈光)
189. 영산포(靈山浦)
190. 영암(靈巖)
191. 오산(鼇山)
192. 오수(獒樹)
193. 옥과(玉果)
194. 옥녀봉(玉女峯)
195. 완도(莞島)
196. 왜성산(倭城山)
197. 왜치(倭峙)
198. 외라로(外羅老)
199. 용계천(龍溪川)
200. 용담(龍潭)
201. 용당진(龍堂津)
202. 용안(龍安)
203. 용요산(龍繞山)
204. 우도(牛島)
205. 우수(右水)
206. 우수악(牛水岳)
207. 운봉(雲峯)
208. 운산(雲山)
209. 운제산(雲梯山)
210. 웅치(熊峙)
211. 원문(轅門)
212. 월출산(月出山)
213. 위도(蝟島)
214. 위봉산(威鳳山)
215. 유곡현(楡谷縣)
216. 유달산(楡達山)
217. 유현(杻峴)
218. 유현(柳峴)
219. 육십현(六十峴)
220. 율치(栗峙)
221. 의악(衣岳)
222. 이진(梨津)
223. 이치(梨峙)
224. 익산(益山)
225. 일관지(一串之)
226. 일로촌(一老村)
227. 임실(任實)
228. 임유(臨淄)
229. 임자(荏子)
230. 임피(臨陂)
231. 입암산(笠巖山)
232. 자은(慈恩)
233. 잔수진(潺水津)
234. 장군(將軍)
235. 장산(長山)
236. 장성(長城)
237. 장수(長水)
238. 장흥(長興)
239. 적상산(赤裳山)
240. 전계(全界)
241. 전주(全州)
242. 절이(折爾)
243. 점방산(店方山)
244. 정읍(井邑)
245. 정의(旌義)
246. 정토산(淨土山)
247. 제원(濟原)
248. 제주(濟州)
249. 조갑(鳥甲)
250. 조계산(曺溪山)
251. 조약도(助藥島)
252. 조천관(朝天館)
253. 좌수(左水)
254. 주줄산(珠崒山)
255. 중대산(中臺山)
256. 지도(智島)
257. 지좌(只佐)
258. 진(鎭)
259. 진계(珍界)
260. 진도(珍島)
261. 진산(珍山)
262. 진안(鎭安)
263. 차귀소(遮歸所)
264. 창평(昌平)
265. 천관(天冠)
266. 천덕산(天德山)
267. 천호산(天壺山)
268. 추월산(秋月山)
269. 추자(楸子)
270. 추천(秋川)
271. 칠산도(七山島)
272. 태인(泰仁)
273. 판치(板峙)
274. 팔경산(八景山)
275. 팔대(八臺)
276. 팔량치(八良峙)
277. 한라산(漢拏山)
278. 함열(咸悅)
279. 함평(咸平)
280. 항치(項峙)
281. 해남(海南)
282. 해제(海際)
283. 해창(海倉)
284. 홍의(紅衣)
285. 화개산(花開山)
286. 화도(花島)
287. 화북소(禾北所)
288. 화순(和順)
289. 화치(火峙)
290. 회령(會寧)
291. 회문산(回文山)
292. 회진(會津)
293. 횡간(橫看)
294. 횡간(橫看)
295. 횡건(橫建)
296. 효성산(曉星山)
297. 흑산(黑山)
298. 흥덕(興德)
299. 흥양(興陽)
목차
전체화면
목차
지명색인
KOREA UNIVERSITY LIBRARY OLD MAP COLLECTION

지명색인도
확인해보세요~!

지명색인도 확인해보세요
KU 고지도 컬렉션
닫기
현재 지도 정보
지도명地圖. 二 (지도이)
간사자간사자미상
간사년고종21(1884)
설명조선 말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회화식 군현지도첩이다. 총 4첩으로 구성되어 있고, 책표지에는 “지도(地圖)”로 제첨이 붙어 있다. 전체 체계는 1.도리표, 2.도별전도, 3.소속 군현의 개별도의 순서이며, 지도의 여백에 각 도와 군현의 인구, 재정곡, 경지면적, 사방경계, 성곽, 창, 면의 이름과 위치에 관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군현도의 경우 방안식 지도로 작성되어 있다. 제 1첩에 첫머리에는 전 세계를 축적에 근거해서 동서반구로 나누어 그린 서양식 지도인 목판본 <지구전도(地球全圖)>를 부착하였고, 하단에 ?지구도해(地球圖解)?와 ?지구론(地球論)?을 베껴 놓았으며, 그 외에도 지구가 태양을 도는 모양을 도해한 <지구환일도(地毬?日圖)>와 지구 공전에 의해 계절이 바뀌는 것을 도해한 <지구환일성세서도(地毬?日成歲序圖>와 연활자로 인쇄된 설명문을 부착하였다는 점이 특징이다. <지구전도>는 1883년(고종 20) 10월 1일자 『한성순보(漢城旬報)』 창간호에 부록되어 있는 것이고, <지구환일도>는 1884년 1월 30일자 제10호에 부록되어 있는 것이며, <지구환일성세서도>는 1884년 2월 17일자 제12호에 부록되어 있는 것을 지도첩에 옮겨서 장정한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이 지도첩의 작성 시기는 1884년(고종 21)으로 추정할 수 있겠다. 더보기
지도 리스트지도 리스트40
목차지도이 목차134
지도이지도이
고지도 컬렉션 정보고지도 컬렉션 정보
고려대학교 도서관 한적실
02841 서울 성북구 안암로 145 고려대학교 도서관
고지도 컬렉션

도서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고지도 중 학술적 가치와 희귀성이 높은 자료를 선별하여 디지털화한 고지도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현재 40건 726면의 고지도 원문 이미지가 구축되어 있습니다.

교내외 로그인 없이 원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닫기
地圖. 二
(지도이)

조선 말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회화식 군현지도첩이다. 총 4첩으로 구성되어 있고, 책표지에는 “지도(地圖)”로 제첨이 붙어 있다. 전체 체계는 1.도리표, 2.도별전도, 3.소속 군현의 개별도의 순서이며, 지도의 여백에 각 도와 군현의 인구, 재정곡, 경지면적, 사방경계, 성곽, 창, 면의 이름과 위치에 관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군현도의 경우 방안식 지도로 작성되어 있다. 제 1첩에 첫머리에는 전 세계를 축적에 근거해서 동서반구로 나누어 그린 서양식 지도인 목판본 <지구전도(地球全圖)>를 부착하였고, 하단에 ?지구도해(地球圖解)?와 ?지구론(地球論)?을 베껴 놓았으며, 그 외에도 지구가 태양을 도는 모양을 도해한 <지구환일도(地毬?日圖)>와 지구 공전에 의해 계절이 바뀌는 것을 도해한 <지구환일성세서도(地毬?日成歲序圖>와 연활자로 인쇄된 설명문을 부착하였다는 점이 특징이다. <지구전도>는 1883년(고종 20) 10월 1일자 『한성순보(漢城旬報)』 창간호에 부록되어 있는 것이고, <지구환일도>는 1884년 1월 30일자 제10호에 부록되어 있는 것이며, <지구환일성세서도>는 1884년 2월 17일자 제12호에 부록되어 있는 것을 지도첩에 옮겨서 장정한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이 지도첩의 작성 시기는 1884년(고종 21)으로 추정할 수 있겠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