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 도서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고지도 컬렉션  |  地圖. 四 (지도사) – 강계

뒤로가기
地圖. 四 (지도사)
검색 취소
지도 리스트
도움말

고려대학교 도서관

다양한 고지도를
살펴보세요~!

다양한 고지도를 살펴보세요
지명색인

지도를 클릭하면
가까운 지명을 볼 수
있어요~!

지도를 클릭하면 가까운 지명을 볼 수 있어요
패널 숨기기
地圖. 四
– 강계
지도사, Jido 4
간사자
간사자미상
간사년
고종21(1884)
설명
조선 말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회화식 군현지도첩이다. 총 4첩으로 구성되어 있고, 책표지에는 “지도(地圖)”로 제첨이 붙어 있다. 전체 체계는 1.도리표, 2.도별전도, 3.소속 군현의 개별도의 순서이며, 지도의 여백에 각 도와 군현의 인구, 재정곡, 경지면적, 사방경계, 성곽, 창, 면의 이름과 위치에 관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군현도의 경우 방안식 지도로 작성되어 있다. 제 1첩에 첫머리에는 전 세계를 축적에 근거해서 동서반구로 나누어 그린 서양식 지도인 목판본 <지구전도(地球全圖)>를 부착하였고, 하단에 ?지구도해(地球圖解)?와 ?지구론(地球論)?을 베껴 놓았으며, 그 외에도 지구가 태양을 도는 모양을 도해한 <지구환일도(地毬?日圖)>와 지구 공전에 의해 계절이 바뀌는 것을 도해한 <지구환일성세서도(地毬?日成歲序圖>와 연활자로 인쇄된 설명문을 부착하였다는 점이 특징이다. <지구전도>는 1883년(고종 20) 10월 1일자 『한성순보(漢城旬報)』 창간호에 부록되어 있는 것이고, <지구환일도>는 1884년 1월 30일자 제10호에 부록되어 있는 것이며, <지구환일성세서도>는 1884년 2월 17일자 제12호에 부록되어 있는 것을 지도첩에 옮겨서 장정한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이 지도첩의 작성 시기는 1884년(고종 21)으로 추정할 수 있겠다. 더보기
지명색인
검색취소
001. 감탕령(甘湯嶺)
002. 갑현(甲峴)
003. 고개동(古介洞)
004. 고도동(古道洞)
005. 고무창(古茂昌)
006. 고사리(高士里)
007. 고사리면(高士里面)
008. 고산(高山)
009. 고여연(古閭延)
010. 고자성(古慈城)
011. 고후천진(古厚州鎭)
012. 괘인령(掛印嶺)
013. 구현(狗峴)
014. 군리천(郡裏川)
015. 금마흘(金麽屹)
016. 길동봉(吉洞峯)
017. 김성민봉(金城敏烽)
018. 나사립접전동(羅士立接戰洞)
019. 나신천(羅信川)
020. 남산(南山)
021. 노동진(蘆洞津)
022. 다락구비(多樂仇非)
023. 대동리(大同里)
024. 대수동(大水洞)
025. 대암천(大巖川)
026. 독로강(禿魯江)
027. 독산(獨山)
028. 동동령(童童嶺)
029. 동창(東倉)
030. 두음령(豆音嶺)
031. 마마해(馬馬海)
032. 마전령(麻田嶺)
033. 마전천(麻田川)
034. 만포(滿浦)
035. 무성령(茂城嶺)
036. 문암동(門巖洞)
037. 미타령(彌陀嶺)
038. 백산(白山)
039. 벌등(伐登)
040. 별하창(別河倉)
041. 봉천대봉(奉天臺烽)
042. 북수동(北水洞)
043. 분토봉(分土烽)
044. 사동리(沙洞里)
045. 사랑봉(舍郞峯)
046. 사창(社倉)
047. 삭토동(削土洞)
048. 삼기령(三岐嶺)
049. 삼기현(三岐峴)
050. 상토(上土)
051. 서동(西洞)
052. 설한령(雪寒嶺)
053. 성간역(城干驛)
054. 성간참(城干站)
055. 성동(城洞)
056. 소암천(小巖川)
057. 소온량(所溫梁)
058. 송봉(松烽)
059. 시시면(時時面)
060. 시시천(時時川)
061. 시시천원(時時川院)
062. 식염덕(食鹽德)
063. 식염동(食鹽洞)
064. 신광(神光)
065. 신덕령(薪德嶺)
066. 신로현(新路峴)
067. 신화동(神化洞)
068. 안명수봉(安明守烽)
069. 안체령(安替嶺)
070. 어외면(於外面)
071. 어외창(於外倉)
072. 어용괴동(於用怪洞)
073. 여둔현(餘屯峴)
074. 오가산(五家山)
075. 오리봉(五里烽)
076. 오만령(五蔓嶺)
077. 오모로창(吾毛老倉)
078. 욋괴면(外叱怪面)
079. 용림창(龍林倉)
080. 우항령(牛項嶺)
081. 이돈접전동(李頓接戰洞)
082. 이령(梨嶺)
083. 이산리(狸山里)
084. 이차가토(伊車加土)
085. 입석면(立石面)
086. 입석참(立石站)
087. 잉질항(芿叱項)
088. 자성강(慈城江)
089. 자작령(自作嶺)
090. 자지령(者之嶺)
091. 장경단동(張京丹洞)
092. 장파령(長坡嶺)
093. 재신령(宰辛嶺)
094. 전창(箭倉)
095. 접전령(接戰嶺)
096. 조명십동(趙明十洞)
097. 조명천폐보(趙明千廢堡)
098. 종포(從浦)
099. 주토봉(朱土峯)
100. 죽전령(竹田嶺)
101. 중강령(中江嶺)
102. 중강천(中江川)
103. 직동(直洞)
104. 직동령(直洞嶺)
105. 창(倉)
106. 창(倉)
107. 창(倉)
108. 창(倉)
109. 창(倉)
110. 창(倉)
111. 창(倉)
112. 창(倉)
113. 창(倉)
114. 창(倉)
115. 초피막령(貂皮幕岺)
116. 총전령(蔥田嶺)
117. 추류령(秋踰嶺)
118. 추파(秋波)
119. 파원참(坡原站)
120. 파탕동(波湯洞)
121. 팔판동면(八板洞面)
122. 평남(平南)
123. 포도천(葡萄川)
124. 하가응이금접전동(河加應伊金接戰洞)
125. 허린봉(許獜烽)
126. 허실정봉(虛實呈烽)
127. 호예동(胡芮洞)
128. 호예령(胡芮嶺)
129. 호예천(胡芮川)
130. 화물이산(火勿移山)
131. 화통령(火通嶺)
132. 황청령(黃靑嶺)
133. 회덕령(回德嶺)
134. 회양동(會陽洞)
목차
전체화면
목차
지명색인
KOREA UNIVERSITY LIBRARY OLD MAP COLLECTION

지명색인도
확인해보세요~!

지명색인도 확인해보세요
KU 고지도 컬렉션
닫기
현재 지도 정보
지도명地圖. 四 (지도사) – 강계
간사자간사자미상
간사년고종21(1884)
설명조선 말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회화식 군현지도첩이다. 총 4첩으로 구성되어 있고, 책표지에는 “지도(地圖)”로 제첨이 붙어 있다. 전체 체계는 1.도리표, 2.도별전도, 3.소속 군현의 개별도의 순서이며, 지도의 여백에 각 도와 군현의 인구, 재정곡, 경지면적, 사방경계, 성곽, 창, 면의 이름과 위치에 관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군현도의 경우 방안식 지도로 작성되어 있다. 제 1첩에 첫머리에는 전 세계를 축적에 근거해서 동서반구로 나누어 그린 서양식 지도인 목판본 <지구전도(地球全圖)>를 부착하였고, 하단에 ?지구도해(地球圖解)?와 ?지구론(地球論)?을 베껴 놓았으며, 그 외에도 지구가 태양을 도는 모양을 도해한 <지구환일도(地毬?日圖)>와 지구 공전에 의해 계절이 바뀌는 것을 도해한 <지구환일성세서도(地毬?日成歲序圖>와 연활자로 인쇄된 설명문을 부착하였다는 점이 특징이다. <지구전도>는 1883년(고종 20) 10월 1일자 『한성순보(漢城旬報)』 창간호에 부록되어 있는 것이고, <지구환일도>는 1884년 1월 30일자 제10호에 부록되어 있는 것이며, <지구환일성세서도>는 1884년 2월 17일자 제12호에 부록되어 있는 것을 지도첩에 옮겨서 장정한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이 지도첩의 작성 시기는 1884년(고종 21)으로 추정할 수 있겠다. 더보기
지도 리스트지도 리스트40
목차지도사 목차74
지도사 – 강계지도사 – 강계
고지도 컬렉션 정보고지도 컬렉션 정보
고려대학교 도서관 한적실
02841 서울 성북구 안암로 145 고려대학교 도서관
고지도 컬렉션

도서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고지도 중 학술적 가치와 희귀성이 높은 자료를 선별하여 디지털화한 고지도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현재 40건 726면의 고지도 원문 이미지가 구축되어 있습니다.

교내외 로그인 없이 원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닫기
地圖. 四
(지도사)

조선 말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회화식 군현지도첩이다. 총 4첩으로 구성되어 있고, 책표지에는 “지도(地圖)”로 제첨이 붙어 있다. 전체 체계는 1.도리표, 2.도별전도, 3.소속 군현의 개별도의 순서이며, 지도의 여백에 각 도와 군현의 인구, 재정곡, 경지면적, 사방경계, 성곽, 창, 면의 이름과 위치에 관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군현도의 경우 방안식 지도로 작성되어 있다. 제 1첩에 첫머리에는 전 세계를 축적에 근거해서 동서반구로 나누어 그린 서양식 지도인 목판본 <지구전도(地球全圖)>를 부착하였고, 하단에 ?지구도해(地球圖解)?와 ?지구론(地球論)?을 베껴 놓았으며, 그 외에도 지구가 태양을 도는 모양을 도해한 <지구환일도(地毬?日圖)>와 지구 공전에 의해 계절이 바뀌는 것을 도해한 <지구환일성세서도(地毬?日成歲序圖>와 연활자로 인쇄된 설명문을 부착하였다는 점이 특징이다. <지구전도>는 1883년(고종 20) 10월 1일자 『한성순보(漢城旬報)』 창간호에 부록되어 있는 것이고, <지구환일도>는 1884년 1월 30일자 제10호에 부록되어 있는 것이며, <지구환일성세서도>는 1884년 2월 17일자 제12호에 부록되어 있는 것을 지도첩에 옮겨서 장정한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이 지도첩의 작성 시기는 1884년(고종 21)으로 추정할 수 있겠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