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 도서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고지도 컬렉션  |  朝鮮古分道地圖. 二 (조선고분도지도이)

뒤로가기
朝鮮古分道地圖. 二 (조선고분도지도이)
검색 취소
지도 리스트
도움말

고려대학교 도서관

다양한 고지도를
살펴보세요~!

다양한 고지도를 살펴보세요
지명색인

지도를 클릭하면
가까운 지명을 볼 수
있어요~!

지도를 클릭하면 가까운 지명을 볼 수 있어요
패널 숨기기
朝鮮古分道地圖. 二
조선고분도지도이, Chosungobundojido 2
작자
간사년
순조34(1834)
설명
필사본. 4첩. 김정호 작. 1834년(순조 34). 표지에 붉은 색으로 "조선고분도지도(朝鮮古分道地圖)"라고 명명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고산자 김정호의 4책본 <청구도(靑邱圖)>의 전사본이다. 주지하다시피 <대동여지도>의 전신에 해당하는 <청구도>는 모두 필사본이어서 목판본 <대동여지도>처럼 널리 보급되지는 못했으나, {대동지지}에 대한 자매편 지도의 성격을 가진 책이다. 전사자에 따라 2책 또는 4책으로 만들기도 했는데, 고려대 도서관 소장 <조선고분도지도>는 4책본 <청구도>의 대표적인 유물이다. 더보기
지명색인
검색취소
001. 가련산(可連山)
002. 가야곡(可也谷)
003. 가정자(柯亭子)
004. 가화(嘉化)
005. 간교평(艮橋坪)
006. 갈마동(渴馬洞)
007. 갈마동(渴馬洞)
008. 감로산(甘露山)
009. 강경(江景)
010. 개태치(開泰峙)
011. 거사리천(居士里川)
012. 건은치(件隱峙)
013. 건자산(乾子山)
014. 건지산(乾止山)
015. 건평(乾坪)
016. 검동(劍洞)
017. 격양천(擊壤川)
018. 경천(敬天)
019. 고남산(古南山)
020. 고산(高山)
021. 고성(古城)
022. 고암(鼓巖)
023. 골남치(骨南峙)
024. 공동(公洞)
025. 공촌(公村)
026. 관전천(官田川)
027. 관촉사(灌燭寺)
028. 광두원(廣頭院)
029. 광석(廣石)
030. 구로치(九老峙)
031. 구문천(九文川)
032. 구봉산(九峯山)
033. 구봉산(九峯山)
034. 구존리(九尊里)
035. 구천곡(九千谷)
036. 군남(郡南)
037. 군동(郡東)
038. 군북(郡北)
039. 군서(郡西)
040. 군서(郡西)
041. 금굴(金堀)
042. 금산(錦山)
043. 금산천(錦山遷)
044. 금성산(錦城山)
045. 금포(金浦)
046. 기시천(猉嘶川)
047. 기인봉(猉獜峯)
048. 나이치(羅移峙)
049. 남(南)
050. 남(南)
051. 남(南)
052. 남동(南東)
053. 남서(南西)
054. 남이(南二)
055. 남이(南二)
056. 남일(南一)
057. 남일(南一)
058. 남일(南一)
059. 남제원(南濟院)
060. 남천(南川)
061. 남천교(南川橋)
062. 낭산(朗山)
063. 낭청진(浪靑津)
064. 내동(內洞)
065. 내산치(內山峙)
066. 노성(魯城)
067. 노성(魯城)
068. 논산포(論山浦)
069. 단사봉(團師峯)
070. 당돌치(唐突峙)
071. 대곡(代谷)
072. 대둔산(大芚山)
073. 대성산(大聖山)
074. 대야천(大也川)
075. 대야천(大也川)
076. 대조곡(大鳥谷)
077. 도곡(道谷)
078. 도솔산(兜率山)
079. 도솔산(兜率山)
080. 도순산(都順山)
081. 도암(島巖)
082. 독자천(篤子川)
083. 동(東)
084. 동(東)
085. 동(東)
086. 동(東)
087. 동과(東過)
088. 동변치(東邊峙)
089. 동사(東四)
090. 동삼(東三)
091. 동이(東二)
092. 동이(東二)
093. 동이(東二)
094. 동일(東一)
095. 동일(東一)
096. 동일(東一)
097. 동일(東一)
098. 두마(豆麻)
099. 두사(豆寺)
100. 두상(豆上)
101. 두천(豆川)
102. 두촌(豆村)
103. 두하(豆下)
104. 득윤(得尹)
105. 마룡지(馬龍池)
106. 마산담(馬山潭)
107. 마이산(馬耳山)
108. 만목치(萬木峙)
109. 만인산(萬仞山)
110. 망월산(望月山)
111. 명치(銘峙)
112. 모산(母山)
113. 모촌(母村)
114. 모촌(茅村)
115. 몽도(蒙道)
116. 묘치(猫峙)
117. 무수동(無愁洞)
118. 무학산(舞鶴山)
119. 문수산(文殊山)
120. 문치(門峙)
121. 미륵(彌勒)
122. 미륵(彌勒)
123. 미흘산(未訖山)
124. 반야산(般若山)
125. 반일봉(半日峯)
126. 반일암(半日巖)
127. 반일천(半日川)
128. 백석(白石)
129. 백암(白巖)
130. 백야치(白也峙)
131. 백자치(栢子峙)
132. 병산(屛山)
133. 병촌(幷村)
134. 보문산(寶文山)
135. 봉림동(鳳林洞)
136. 봉상(峯上)
137. 봉실(峯實)
138. 부귀산(富貴山)
139. 부남(富南)
140. 부동(富東)
141. 부동(府東)
142. 부북(富北)
143. 부북(府北)
144. 부서(富西)
145. 부서(府西)
146. 부인처(夫人處)
147. 북(北)
148. 북(北)
149. 북(北)
150. 북(北)
151. 북(北)
152. 북삼(北三)
153. 북이(北二)
154. 북이(北二)
155. 북일(北一)
156. 북일(北一)
157. 북일(北一)
158. 불명산(佛明山)
159. 불암산(佛巖山)
160. 비당(碑堂)
161. 비당(碑堂)
162. 비봉산(飛鳳山)
163. 비봉산(飛鳳山)
164. 사계(沙溪)
165. 사교(沙橋)
166. 사미대(四美臺)
167. 사제(巳梯)
168. 사포현(沙浦峴)
169. 산내(山內)
170. 산장령(産長嶺)
171. 삼기산(三箕山)
172. 삼례(參禮)
173. 삼방(三方)
174. 삼북(三北)
175. 삼산(三山)
176. 상남(上南)
177. 상도(上道)
178. 상도(上道)
179. 서(西)
180. 서(西)
181. 서(西)
182. 서(西)
183. 서(西)
184. 서고산(西高山)
185. 서고산(西高山)
186. 서대산(西臺山)
187. 서사(西四)
188. 서삼(西三)
189. 서이(西二)
190. 서이(西二)
191. 서일(西一)
192. 서정자(西亭子)
193. 서화천(西華川)
194. 석교천(石橋川)
195. 석성(石城)
196. 석탄(石灘)
197. 성림사(聖林寺)
198. 성본(城本)
199. 성산(城山)
200. 성천(省川)
201. 세도(世道)
202. 소미진(召彌津)
203. 소사(素沙)
204. 소산(所山)
205. 소양(所陽)
206. 소요정(逍遙亭)
207. 소전리(蘇田里)
208. 소천(溸川)
209. 소호산(蘇湖山)
210. 송광사(松廣寺)
211. 송산(松山)
212. 송원치(松院峙)
213. 송치(松峙)
214. 송현(松峴)
215. 수령(秀嶺)
216. 수성천(壽成川)
217. 수심대(水心臺)
218. 시진포(市津浦)
219. 식장산(食藏山)
220. 식천(食阡)
221. 신리(新里)
222. 신음산(神陰山)
223. 신천(薪川)
224. 신치(新峙)
225. 신치(新峙)
226. 심곡사(深谷寺)
227. 심원사(深源寺)
228. 쌍계사(雙溪寺)
229. 쌍정평(雙亭坪)
230. 안자천(顔子川)
231. 안평산(安平山)
232. 앵곡(鸎谷)
233. 양재(良才)
234. 양정치(羊丁峙)
235. 양정포(良正浦)
236. 엄정산(嚴正山)
237. 여산(礪山)
238. 역양(櫟陽)
239. 연산(連山)
240. 연산(連山)
241. 오금산(五金山)
242. 오두치(烏頭峙)
243. 오백조(五百條)
244. 옥계(玉溪)
245. 옥녀봉(玉女峯)
246. 옥천(沃川)
247. 옥포(玉泡)
248. 왕사봉(王師峯)
249. 외남(外南)
250. 외성(外城)
251. 외성(外城)
252. 용계현(龍溪峴)
253. 용담(龍潭)
254. 용안(龍安)
255. 용전(龍田)
256. 용진(龍進)
257. 용천동(龍泉洞)
258. 용화산(龍華山)
259. 우곤(牛昆)
260. 우동(紆東)
261. 우북(紆北)
262. 우서(紆西)
263. 운동(雲東)
264. 운북(雲北)
265. 운서(雲西)
266. 운암산(雲暗山)
267. 운제산(雲梯山)
268. 웅치(熊峙)
269. 웅치(熊峙)
270. 원계(遠溪)
271. 원계천(遠溪川)
272. 원북(院北)
273. 원왕산(遠往山)
274. 월봉산(月峯山)
275. 월영산(月影山)
276. 유등포(柳等浦)
277. 유령(杻嶺)
278. 유치(杻峙)
279. 유포천(柳浦川)
280. 율촌(栗村)
281. 율포(栗浦)
282. 율포(栗浦)
283. 율현(栗峴)
284. 은진(恩津)
285. 이남(利南)
286. 이내(利內)
287. 이동(伊東)
288. 이북(二北)
289. 이북(伊北)
290. 이서(伊西)
291. 이원(利原)
292. 이천(伊川)
293. 이치(梨峙)
294. 익산(益山)
295. 인의(仁義)
296. 일북(一北)
297. 자운산(紫雲山)
298. 장군동(藏軍洞)
299. 장연(長淵)
300. 저포(猪浦)
301. 적천치(賊川峙)
302. 전주(全州)
303. 전주양량소(全州陽良所)
304. 전주지(全州地)
305. 정북(定北)
306. 정자천(程子川)
307. 정치(鼎峙)
308. 제석(帝石)
309. 제원(濟原)
310. 조촌(助村)
311. 종남(終南)
312. 주자천(朱子川)
313. 주줄산(珠崒山)
314. 주화천(珠華川)
315. 죽계(竹溪)
316. 죽본(竹本)
317. 증산(甑山)
318. 증산포(甑山浦)
319. 증약(增若)
320. 지석(支石)
321. 진산(珍山)
322. 진안(鎭安)
323. 진약산(進藥山)
324. 진잠(鎭岑)
325. 징청연(澄淸淵)
326. 차탄(車灘)
327. 창포(倉浦)
328. 채운(彩雲)
329. 천동(川東)
330. 천동(泉洞)
331. 천비산(天庇山)
332. 천서(川西)
333. 천호산(天護山)
334. 청량산(淸凉山)
335. 청록산(靑鹿山)
336. 초곡(草谷)
337. 초동(草洞)
338. 초촌(草村)
339. 초포교(草浦橋)
340. 추천(楸川)
341. 추치(楸峙)
342. 춘탄교(春灘橋)
343. 춘포(春浦)
344. 칠성산(七星山)
345. 탄치(炭峙)
346. 탄치(炭峙)
347. 탄현(炭峴)
348. 태조봉(太祖峯)
349. 토기(土岐)
350. 팔봉산(八峯山)
351. 평천(平川)
352. 포천(布川)
353. 하도(下道)
354. 한삼천(汗三川)
355. 합광(合光)
356. 해태산(亥胎山)
357. 현서(縣西)
358. 호천(狐川)
359. 화곡(禾谷)
360. 화산(花山)
361. 화산(花山)
362. 화지산(花之山)
363. 환산(環山)
364. 황화정(皇華亭)
365. 회포(洄浦)
366. 회포(洄浦)
367. 흥(興)
목차
전체화면
목차
지명색인
KOREA UNIVERSITY LIBRARY OLD MAP COLLECTION

지명색인도
확인해보세요~!

지명색인도 확인해보세요
KU 고지도 컬렉션
닫기
현재 지도 정보
지도명朝鮮古分道地圖. 二 (조선고분도지도이)
작자
간사년순조34(1834)
설명필사본. 4첩. 김정호 작. 1834년(순조 34). 표지에 붉은 색으로 "조선고분도지도(朝鮮古分道地圖)"라고 명명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고산자 김정호의 4책본 <청구도(靑邱圖)>의 전사본이다. 주지하다시피 <대동여지도>의 전신에 해당하는 <청구도>는 모두 필사본이어서 목판본 <대동여지도>처럼 널리 보급되지는 못했으나, {대동지지}에 대한 자매편 지도의 성격을 가진 책이다. 전사자에 따라 2책 또는 4책으로 만들기도 했는데, 고려대 도서관 소장 <조선고분도지도>는 4책본 <청구도>의 대표적인 유물이다. 더보기
지도 리스트지도 리스트40
목차조선고분도지도이 목차23
조선고분도지도이조선고분도지도이
고지도 컬렉션 정보고지도 컬렉션 정보
고려대학교 도서관 한적실
02841 서울 성북구 안암로 145 고려대학교 도서관
고지도 컬렉션

도서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고지도 중 학술적 가치와 희귀성이 높은 자료를 선별하여 디지털화한 고지도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현재 40건 726면의 고지도 원문 이미지가 구축되어 있습니다.

교내외 로그인 없이 원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닫기
朝鮮古分道地圖. 二
(조선고분도지도이)

필사본. 4첩. 김정호 작. 1834년(순조 34). 표지에 붉은 색으로 "조선고분도지도(朝鮮古分道地圖)"라고 명명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고산자 김정호의 4책본 <청구도(靑邱圖)>의 전사본이다. 주지하다시피 <대동여지도>의 전신에 해당하는 <청구도>는 모두 필사본이어서 목판본 <대동여지도>처럼 널리 보급되지는 못했으나, {대동지지}에 대한 자매편 지도의 성격을 가진 책이다. 전사자에 따라 2책 또는 4책으로 만들기도 했는데, 고려대 도서관 소장 <조선고분도지도>는 4책본 <청구도>의 대표적인 유물이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