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 도서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고지도 컬렉션  |  靑邱圖. 二 (청구도이) – 십오판

뒤로가기
靑邱圖. 二 (청구도이)
검색 취소
지도 리스트
도움말

고려대학교 도서관

다양한 고지도를
살펴보세요~!

다양한 고지도를 살펴보세요
지명색인

지도를 클릭하면
가까운 지명을 볼 수
있어요~!

지도를 클릭하면 가까운 지명을 볼 수 있어요
패널 숨기기
靑邱圖. 二
– 십오판
청구도이, Cheonggudo 2
작자
김정호(조선)
간사년
순조34(1834)
설명
고산자 김정호가 1834년에 완성한 필사본 지도책이다. "청구"는 우리나라의 별칭이므로, "청구도"라는 명칭은 "조선지도"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이전의 우리나라 지도는 전도를 제외하면 대부분 행정구역별로 구분한 도별도와 군현도가 대부분이었는데, 청구도는 우리나라 남북을 100리 간격으로 잘라 29층으로 만들고 동서를 70리 간격으로 끊어서 22판으로 만들었으니, 대략 16만분의 일에 해당하는 대축적지도인 셈이다. 지도책은 기·우(奇·偶) 2책으로 장정하여 기(奇)권에는 홀수층을, 우(偶)권에는 짝수층을 묶어서, 홀수층과 짝수층을 서로 잇대어 볼 수 있게 고안하였다. 고려대 도서관 소장 <청구도>는 현전하는 <청구도>류의 원고본으로 추정되며, 보물 제1594-(3)호(2009.04.22)로 지정되어 있다.더보기
지명색인
검색취소
001. 가막동(加莫洞)
002. 가배곡면(加背谷面)
003. 가현산(歌弦山)
004. 갈산(葛山)
005. 개골동(蓋骨洞)
006. 개화산(開花山)
007. 검단면(黔丹面)
008. 겁을면(迲乙面)
009. 견달산(見達山)
010. 경도(京都)
011. 경명현(景明峴)
012. 계명산(鷄鳴山)
013. 계양산(桂陽山)
014. 고동성현(古童城縣)
015. 고령산(高靈山)
016. 고리관면(古里串面)
017. 고봉(高峯)
018. 고성(古城)
019. 고양(高陽)
020. 고완대면(古薍臺面)
021. 고진강현(古鎭江縣)
022. 고풍양현(古豊壤縣)
023. 고행궁지(古行宮址)
024. 고현내면(古縣內面)
025. 공릉(恭陵)
026. 공수천(公須川)
027. 공암(孔巖)
028. 공양왕릉(恭讓王陵)
029. 과천(果川)
030. 관악산(冠岳山)
031. 광교산(光敎山)
032. 광성(廣城)
033. 광흥창(廣興倉)
034. 교(橋)
035. 교(橋)
036. 구제물진(舊濟物津)
037. 구지도면(求知道面)
038. 군자산(君子山)
039. 굴포(掘浦)
040. 금륜역(金輪驛)
041. 금물(今勿)
042. 금지산(衿之山)
043. 기(箕)
044. 기영(畿營)
045. 길상면(吉祥面)
046. 길성산(吉城山)
047. 김포(金浦)
048. 남면(南面)
049. 남면(南面)
050. 남묘(南廟)
051. 남산(南山)
052. 남산면(南山面)
053. 남촌면(南村面)
054. 내가면(內可面)
055. 노강서원(鷺江書院)
056. 노량(露梁)
057. 노원면(蘆原面)
058. 노장면(蘆長面)
059. 녹양역(綠楊驛)
060. 누원(樓院)
061. 다소면(多所面)
062. 당산면(堂山面)
063. 대모성산(大母城山)
064. 대월면(大月面)
065. 대자사(大慈寺)
066. 대파면(大坡面)
067. 덕수천(德水川)
068. 덕진(德津)
069. 덕포(德浦)
070. 도리현(道里峴)
071. 도봉산(道峯山)
072. 도봉서원(道峯書院)
073. 독산(禿山)
074. 동검(東檢)
075. 동면(東面)
076. 동면(東面)
077. 동면(東面)
078. 동묘(東廟)
079. 동소정면(同所井面)
080. 동작진(銅雀津)
081. 두모포(豆毛浦)
082. 마니산(摩尼山)
083. 마장면(馬場面)
084. 마포(麻浦)
085. 마하산(麻河山)
086. 말용포(末冗浦)
087. 매(梅)
088. 모(茅)
089. 모월면(毛月面)
090. 목(牧)
091. 목(牧)
092. 목멱산(木覔山)
093. 무악(毋岳)
094. 문수봉(文殊峯)
095. 문지(文知)
096. 문학산(文鶴山)
097. 물차(勿次)
098. 물치(勿淄)
099. 민절서원(愍節書院)
100. 반유역(盤游驛)
101. 반이면(半伊面)
102. 방영(防營)
103. 방학호(放鶴湖)
104. 백련산(白蓮山)
105. 백석면(白石面)
106. 백석산(白石山)
107. 백악(白岳)
108. 백운사(白雲寺)
109. 벽제역(碧蹏驛)
110. 별아산(別峩山)
111. 봉성면(奉城面)
112. 부평(富平)
113. 북면(北面)
114. 북한산성(北漢山城)
115. 불은면(佛恩面)
116. 사고(史庫)
117. 사근평(肆覲坪)
118. 사리면(沙里面)
119. 사천(沙川)
120. 사천(蛇川)
121. 사충서원(四忠書院)
122. 사평리(沙坪里)
123. 사포면(巳浦面)
124. 사하리평(沙河里坪)
125. 삼각산(三角山)
126. 삼목(三木)
127. 삼성산(三聖山)
128. 삼정면(三井面)
129. 삼천동(三川洞)
130. 상관면(桑串面)
131. 상도면(上道面)
132. 상림(桑林)
133. 상면(上面)
134. 상북면(上北面)
135. 상서면(上西面)
136. 상오면(上梧面)
137. 생량면(生良面)
138. 서강(西江)
139. 서면(西面)
140. 서면(西面)
141. 서빙고(西氷庫)
142. 서산(西山)
143. 서성(西城)
144. 서천(西遷)
145. 석곡역(石谷驛)
146. 석관면(石串面)
147. 석천면(石川面)
148. 석한면(石閑面)
149. 석화산(石花山)
150. 선두포(船頭浦)
151. 선부면(仙阜面)
152. 선유봉(仙遊峯)
153. 성산(城山)
154. 성현(星峴)
155. 소래면(蘇來面)
156. 소래산(蘇來山)
157. 소령원(昭寧園)
158. 손석항(孫石項)
159. 송산(松山)
160. 송산면(松山面)
161. 수리산(修理山)
162. 수안성산(守安城山)
163. 수유현(水踰峴)
164. 수유현(水踰峴)
165. 수이(愁伊)
166. 수탄면(水呑面)
167. 승가사(僧伽寺)
168. 시(矢)
169. 시흥(始興)
170. 신(信)
171. 신불(薪佛)
172. 신원(新院)
173. 신현면(新峴面)
174. 신혈면(神穴面)
175. 심악산(深岳山)
176. 심천(深川)
177. 안산수(安山守)
178. 안양교(安養橋)
179. 압도(鴨島)
180. 약산(藥山)
181. 양릉면(良陵面)
182. 양재(良才)
183. 양재천(良才川)
184. 양천(陽川)
185. 양철평(梁鐵坪)
186. 양화진(楊花鎭)
187. 여의도(汝矣島)
188. 여현(礪峴)
189. 연산묘(燕山墓)
190. 염창(鹽倉)
191. 염포(鹽浦)
192. 영서역(迎曙驛)
193. 영종(永宗)
194. 오릉(五陵)
195. 오봉산(五峯山)
196. 옥모면(玉毛面)
197. 온릉(溫陵)
198. 와동면(瓦洞面)
199. 와서(瓦署)
200. 와우산(臥牛山)
201. 왕륜면(王倫面)
202. 용건면(龍巾面)
203. 용산(龍山)
204. 용진(龍津)
205. 우면산(牛眠山)
206. 울치(鬱峙)
207. 원(猿)
208. 원당면(元堂面)
209. 원우금면(遠又今面)
210. 원적산(元積山)
211. 월곡면(月谷面)
212. 월미(月尾)
213. 월여곶면(月余串面)
214. 위어소(葦魚所)
215. 유곶(杻串)
216. 율(栗)
217. 율도(栗島)
218. 응(鷹)
219. 의곡면(義谷面)
220. 의릉(懿陵)
221. 의이(衣耳)
222. 인덕원천(仁德院川)
223. 인왕산(仁王山)
224. 인정면(仁政面)
225. 인천(仁川)
226. 일(一)
227. 임천(林川)
228. 잉화면(仍火面)
229. 자연도(紫燕島)
230. 장(獐)
231. 장곶(長串)
232. 장군소면(將軍所面)
233. 장령면(長令面)
234. 장령산(長嶺山)
235. 장릉(章陵)
236. 장명현(獐鳴峴)
237. 장흥면(長興面)
238. 적유현(狄踰峴)
239. 전반면(田返面)
240. 전석현(磚石峴)
241. 정릉(貞陵)
242. 정왕산(正往山)
243. 정자(亭子)
244. 정족산성(鼎足山城)
245. 제도신단(諸島神壇)
246. 제물(濟物)
247. 조동면(鳥洞面)
248. 조피산(曺皮山)
249. 종생역(終生驛)
250. 주안면(朱鴈面)
251. 주화면(注火面)
252. 중림역(重林驛)
253. 중면(中面)
254. 증산(甑山)
255. 지석면(支石面)
256. 지지대(遲遲臺)
257. 진강산(鎭江山)
258. 착어암(捉魚巖)
259. 참성단(塹城壇)
260. 천등현(天燈峴)
261. 철관진(鐵串津)
262. 청계산(淸溪山)
263. 초산면(草山面)
264. 초지(草芝)
265. 총융행영(摠戎行營)
266. 충현서원(忠賢書院)
267. 태을산(太乙山)
268. 토정(土亭)
269. 통진(通津)
270. 통해(通海)
271. 팔라(八羅)
272. 팔미(八未)
273. 품관(品官)
274. 하도면(下道面)
275. 하도면(下道面)
276. 하북면(下北面)
277. 하서면(下西面)
278. 하오면(下梧面)
279. 학령산(鶴嶺山)
280. 학현(鶴峴)
281. 한강(漢江)
282. 항산(項山)
283. 해등면(海等面)
284. 행궁(行宮)
285. 행궁(行宮)
286. 행궁(行宮)
287. 행궁(行宮)
288. 행주(幸州)
289. 현석(玄石)
290. 혈굴산(穴窟山)
291. 혜음령(惠陰嶺)
292. 호(虎)
293. 호계서원(虎溪書院)
294. 호현(狐峴)
295. 홍복산(洪福山)
296. 홍제원(弘濟院)
297. 화전리(花田里)
298. 황등면(黃等面)
299. 황어면(黃魚面)
300. 효릉(孝陵)
301. 휘경원(徽慶園)
목차
전체화면
목차
지명색인
KOREA UNIVERSITY LIBRARY OLD MAP COLLECTION

지명색인도
확인해보세요~!

지명색인도 확인해보세요
KU 고지도 컬렉션
닫기
현재 지도 정보
지도명靑邱圖. 二 (청구도이) – 십오판
작자김정호(조선)
간사년순조34(1834)
설명고산자 김정호가 1834년에 완성한 필사본 지도책이다. "청구"는 우리나라의 별칭이므로, "청구도"라는 명칭은 "조선지도"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이전의 우리나라 지도는 전도를 제외하면 대부분 행정구역별로 구분한 도별도와 군현도가 대부분이었는데, 청구도는 우리나라 남북을 100리 간격으로 잘라 29층으로 만들고 동서를 70리 간격으로 끊어서 22판으로 만들었으니, 대략 16만분의 일에 해당하는 대축적지도인 셈이다. 지도책은 기·우(奇·偶) 2책으로 장정하여 기(奇)권에는 홀수층을, 우(偶)권에는 짝수층을 묶어서, 홀수층과 짝수층을 서로 잇대어 볼 수 있게 고안하였다. 고려대 도서관 소장 <청구도>는 현전하는 <청구도>류의 원고본으로 추정되며, 보물 제1594-(3)호(2009.04.22)로 지정되어 있다.더보기
지도 리스트지도 리스트40
목차청구도이 목차95
청구도이 – 십오판청구도이 – 십오판
고지도 컬렉션 정보고지도 컬렉션 정보
고려대학교 도서관 한적실
02841 서울 성북구 안암로 145 고려대학교 도서관
고지도 컬렉션

도서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고지도 중 학술적 가치와 희귀성이 높은 자료를 선별하여 디지털화한 고지도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현재 40건 726면의 고지도 원문 이미지가 구축되어 있습니다.

교내외 로그인 없이 원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닫기
靑邱圖. 二
(청구도이)

고산자 김정호가 1834년에 완성한 필사본 지도책이다. "청구"는 우리나라의 별칭이므로, "청구도"라는 명칭은 "조선지도"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이전의 우리나라 지도는 전도를 제외하면 대부분 행정구역별로 구분한 도별도와 군현도가 대부분이었는데, 청구도는 우리나라 남북을 100리 간격으로 잘라 29층으로 만들고 동서를 70리 간격으로 끊어서 22판으로 만들었으니, 대략 16만분의 일에 해당하는 대축적지도인 셈이다. 지도책은 기·우(奇·偶) 2책으로 장정하여 기(奇)권에는 홀수층을, 우(偶)권에는 짝수층을 묶어서, 홀수층과 짝수층을 서로 잇대어 볼 수 있게 고안하였다. 고려대 도서관 소장 <청구도>는 현전하는 <청구도>류의 원고본으로 추정되며, 보물 제1594-(3)호(2009.04.22)로 지정되어 있다.

닫기